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<P>지구를 살리는 olleh경영!</P> <P>지구 온난화로 인한 위기상황을 탈피하고 국가의 "저탄소 녹색성장" 정책에 발맞추는 olleh경영!<BR>근시적인 경영을 탈피하고 미래를 지향하는 경영이야말로 올來 경영이 아닐까 싶다.</P> <P>KT 등과 녹색성장펀드 협약 체결<BR>경기도는 30일(주)KT,(주)KT캐피탈,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등 4개 기관과 함께 녹색성장펀드(일명3G1펀드)결성 협약을 체결했다.<BR>이날 협약식은 녹색성장펀드 결성 경과보고에 이어 김문수 경기지사, 이석채 (주)KT 대표이사 회장, 이종호 (주)KT캐피탈 사장, <BR>홍기화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대표이사가 협약서에 서명·교환한 후 김 지사와 이석채 (주)KT회장의 인사말 등으로 진행됐다.<BR>경기도는 지난 6월1일 지구온난화로 인한 위기상황을 탈피하고 국가의‘저탄소 녹색성장’정책에 발맞춰 도내 신재생에너지 및 <BR>탄소배출권사업 등 녹색성장 관련기업에 대한 체계적 지원을 위해 300억원 규모의 ‘녹색성장펀드 결성 및 운용계획’을 수립했다.<BR>이어 6월 23일‘경기도중소기업육성기금운용심의위원회’에서‘녹색성장(일명3G1)펀드 경기도 출자자금 지원계획’에 관한 안건을 <BR>심의한 결과, 100억원을 출자하기로 의결했다. 7월10일에는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에 업무를 위탁, 운용사 모집공고에 들어갔으며<BR>7월27일 (주)KT캐피탈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. 8월과 9월에는 일반출자자로서 KT캐피탈의 모기업인 (주)KT가 125억원,<BR>KT캐피탈과 한국기술투자(주)가 각각 25억원, 신한캐피탈이 15억원, LIG손해보험과 KB국민은행이 각각 10억원을 출자해 <BR>경기도 출자분 100억원을 합쳐 300억원의 투자조합을 결성하는 성과를 거둬 이날 협약에 이르게 된 것이다. <BR>KT의 한 관계자는 “경기도는 전국 중소 제조기업중 30% 이상이 소재,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지역으로서,<BR>경기도의 녹색성장을 위한 도의 지원의지와 녹색성장을 통한 성장동력 발굴 및 중소기업 상생을 위한 KT의 경영전략이 맞물려 <BR>이번 녹색성장투자조합을 결성하게 됐다”고 밝혔다. 녹색성장펀드는 앞으로 KT캐피탈이 운용을 맡게 되며 사내(社內)에 설치된<BR>‘투자심의위원회’에 경기중소기업센터 관계자가 참여, 감독기능을 수행한다. <BR>또 이 펀드는 태양광, 풍력, 지열, LED, 수소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제조업과 연구개발업(R&D)에 60%, 폐기물처리,<BR>에너지효율 개선, 수송 등 탄소배출권 관련 분야에 40% 비중으로 투자되며 1기업당 30억원 이내, 피 투자기업 지분 30% 이내에서 주식,<BR>전환사채, 신주인수권부사채 등의 인수방법으로 금년 10월부터 녹색성장 관련기업에 지원된다. <BR>녹색산업 R&D와 핵심기술을 개발해야 하는 녹색성장 관련기업은 대부분 신생 중소기업으로서 자금사정이 좋지 않은 특성이 있어<BR>이번 녹색성장펀드가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.<BR>경기도 관계자는 “녹색성장펀드가 단순히 자금을 지원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기업이 반드시 성공할 수 있도록 경영컨설팅, <BR>기술정보 제공, 마케팅지원 등 단계별 맞춤형 Value-up 서비스도 함께 추진 될 것”이라며 “탄소배출권 관련기업 지원을 통해서는<BR>온실가스를 효율적으로 저감해 향후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부과되는 포스트 교토(post-koyto)체제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”<BR>이라고 말했다. 또한 “녹색성장펀드 지원을 통해 여타 기업의 녹색산업 분야 진출을 촉진하고 범국가적인 친환경기업 분위기가 <BR>조성되는 효과가 있어 ‘저탄소 녹색성장’의 국가비전을 경기도가 선도해 나가는 역할이 기대된다”고 밝혔다.</P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